게이세이 히가시나리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세이 히가시나리타선은 일본 지바현 나리타시를 운행하는 게이세이 전철의 철도 노선이다. 1978년 게이세이 나리타역과 히가시나리타역 구간이 게이세이 본선으로 개통되었고, 1991년 나리타 공항역(현 히가시나리타역) 영업 개시에 따라 고마노이 신호장과 히가시나리타역 구간이 히가시나리타선으로 분리되었다. 대부분의 열차가 시바야마 철도 시바야마치요다역과 게이세이 나리타역을 왕복 운행하며, 일부는 게이세이 우에노역, 니시마고메역, 하네다 공항까지 직결 운행한다. 노선 거리는 7.1km이며, 이 중 6.0km는 게이세이 본선과 중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리타시의 교통 - 국도 제464호선 (일본)
국도 제464호선은 일본 지바현을 지나는 일반 국도로, 1993년 현도 53호선 등을 통합하여 지정되었으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다양한 철도 노선과 교차한다. - 나리타시의 교통 - 나리타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은 지바현 나리타시에 위치한 일본의 주요 국제 관문으로, 하네다 국제공항의 국제선 기능을 이관받아 1978년 개항 후 민영화되어 지속적인 확장과 교통망 개선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 게이세이 전철의 철도 노선 - 게이세이 오시아게선
게이세이 오시아게 선은 오시아게역과 아오토역을 잇는 5.7km의 복선 전철화 노선으로, 여러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도심 접근성을 높이고 다채로운 운행 계통을 제공하며, 특히 오시아게역은 게이세이 전철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 게이세이 전철의 철도 노선 - 게이세이 본선
게이세이 본선은 게이세이우에노역에서 나리타 공항역까지 총 69.3km를 운행하는 게이세이 전철의 노선이며, 표준궤를 사용하고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도쿄 메트로 및 도영 지하철과 직결 운행한다. - 나리타 국제공항 - 나리타 익스프레스
나리타 익스프레스는 JR 동일본의 공항철도로, 신주쿠역 또는 오후나역에서 출발하여 도쿄역을 경유, 나리타 국제공항역까지 E259계 전동차로 운행되며 모든 좌석이 지정석이고, 도쿄역과 나리타 공항역 간 소요시간은 약 53분에서 1시간이다. - 나리타 국제공항 - 페덱스 익스프레스 80편 불시착 사고
페덱스 익스프레스 80편 불시착 사고는 2009년 일본 나리타 국제공항 착륙 중 강풍과 조종사 과실로 MD-11F 화물기가 불시착하여 기장과 부기장이 사망하고 활주로가 폐쇄된 사고이다.
게이세이 히가시나리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개요 | |
노선 이름 | 게이세이 히가시나리타 선 |
로고 크기 | 40px |
노선 색상 | '#005aaa' |
위치 | 지바현 나리타시 |
기점 | 게이세이 나리타 역 |
종점 | 히가시나리타 역 |
역 수 | 2개 역 |
노선 기호 | KS |
개업 | 1978년 5월 21일 |
소유자 | 게이세이 전철 |
운영자 | 게이세이 전철 |
노선 길이 | 7.1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2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방식 |
최고 속도 | 105 km/h |
보안 장치 | C-ATS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
최대 경사 | 25 ‰ |
최소 곡선 반지름 | 400 m |
역 목록 | |
역 이름 | 게이세이 나리타 역 (KS40) |
역 간 거리 | 7.1 km |
역 이름 | 히가시나리타 역 (KS44) |
연결 노선 | 시바야마 철도 시바야마 철도 선 (SR01 시바야마치요다 역) |
기타 정보 | |
![]() |
2. 역사
1978년 5월 21일, 게이세이 전철은 게이세이 본선의 일부로 게이세이 나리타 - 나리타 공항(현재의 히가시나리타역) 구간을 개통했다.[1] 1991년 3월 19일, 나리타 공항역이 새로 영업을 시작하면서 기존 나리타 공항역은 히가시나리타역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고마노이 신호장 - 히가시나리타 구간은 '''히가시나리타선'''으로 분리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66년 ~ 1978년)
1966년 일본 정부는 나리타시 산리츠카에 신도쿄 국제공항(현 나리타 국제공항) 건설을 결정했다.[3] 1968년 게이세이 전철은 게이세이 나리타역 - 나리타 공항역 간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신청했고,[3] 1969년에 면허를 취득했다.[3] 1970년 건설 공사에 착수하여,[3] 1972년 설비가 완성되었다.[3] 총 건설 비용은 1350억엔이었다.[3]그러나 나리타 공항 문제와 산리츠카 투쟁으로 대표되는 공항 반대 운동으로 인해 개항이 지연되면서 노선 개통도 늦어졌다.[3] 1978년 5월 21일, 게이세이 본선의 일부로서 게이세이 나리타역 - 나리타 공항역(현재의 히가시나리타역) 구간이 개통되었다.[3]
2. 2. 노선 분리 및 시바야마 철도선 직결 (1991년 ~ 현재)
1991년 3월 19일, 나리타 공항역 영업 개시에 따라 나리타 공항역을 히가시나리타 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게이세이 나리타 역 ~) 고마노이 신호장 ~ 히가시나리타 역 구간을 '''히가시나리타선'''으로 분리했다.[1] 2002년 시바야마 철도선 개통 후에는, 이 노선과 게이세이 본선을 연결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2002년 10월 27일에는 시바야마 철도선이 개통하면서, 이 노선과 상호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8]
2022년 11월 26일에는 주간 시간대 열차에서 원맨 운전을 시작했다.[2][8]
3. 운행 형태
대부분의 열차가 게이세이 나리타역과 시바야마 철도선 시바야마치요다역 간을 왕복 운행한다. 아침, 저녁 시간에는 게이세이 본선을 경유하여 게이세이 우에노, 니시마고메, 하네다 공항까지 직결 운행한다. 운행 간격은 1시간에 1~2편 정도이며, 러시 아워에는 3편 정도이다.
2019년 10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게이세이 우에노역 발착 쾌속 1왕복이 히가시나리타역행에서 시바야마치요다역행으로 변경되어, 시바야마 철도선으로는 모든 열차가 직통하게 되었다.
3. 1. 열차 등급
기본적으로 게이세이 나리타역과 시바야마 철도선 시바야마치요다역을 왕복 운행한다. 일부 열차는 아침이나 저녁 시간에 게이세이 전철 본선을 거쳐 게이세이 우에노, 니시마고메, 하네다 공항까지 직결 운행한다.아침, 저녁 러시아워에는 게이세이 본선,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선, 게이큐 본선, 게이큐 공항선과 직통 운행을 한다.
현재 운행 패턴은 다음과 같다.
- 시바야마 철도선 시바야마치요다역 - 게이세이 우에노역
- 상행은 아침, 하행은 밤을 중심으로 운행된다.
- 특급: 평일 야간 하행 3편, 토·휴일 야간 하행 막차 및 저녁 1편 (게이세이 우에노행)
- 통근특급: 평일 상행만 운행
- 쾌속: 평일 1왕복은 히가시나리타역 회차였으나, 2019년 10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시바야마치요다 발착으로 변경.
- 시바야마 철도선 시바야마치요다역 - 도영선 니시마고메역
- 상행: 평일 아침 쾌속특급 1편, 평일 저녁~야간 쾌속 (도영 아사쿠사선 내에서는 보통 운행)
- 하행: 평일·토·휴일 모두 현재 시간표에는 없음.
- 게이큐선 하네다 공항 제1·제2 터미널 발 시바야마 철도선 시바야마치요다역행
- 평일에만 쾌속특급, 특급 각 1편 운행
- 게이큐선 내에서는 급행, 도영선 내에서는 게이세이선 종별로 운행
낮 시간에는 게이세이 나리타역 - 시바야마 철도선시바야마치요다역 구간을 왕복 운행하며, 게이세이 나리타역에서 나리타 공항·공항 제2빌딩 방면 쾌속 열차와 연결된다.
현재 시간표 상 운행 패턴은 다음과 같다.
- 게이세이 나리타역 - 시바야마 철도선 시바야마치요다역
- 낮에는 4량 편성(원맨 운전) 열차가 40분 간격으로 운행.
- 게이세이 우에노역, 게이세이 쓰다누마, 소고산도역 - 시바야마 철도선 시바야마치요다역
- 아침, 저녁을 중심으로 운행.
3. 2. 여성 전용칸
평일 아침 혼잡 시간대에 시바야마치요다에서 출발하여 게이세이 우에노로 가는 통근 특급(8량 편성) 열차 2편의 마지막 차량은 여성 전용차로 운영된다.3. 3. 과거 운행 형태
과거 평일 아침 상행 보통 게이세이 우에노행(6량 편성) 1편의 마지막 차량에는 행상 전용차가 설정되어 있었다. 2013년 3월 29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1]
4. 차량
게이세이 전철 3000계, 게이세이 전철 3400계, 게이세이 전철 3500계, 게이세이 전철 3600계, 게이세이 전철 3700계 전동차가 운행된다.
5. 역 목록
6. 노선 정보
7. 기타
히가시나리타선은 대부분 지바현 나리타시에 속해 있지만, 노선 중간에 다코정 잇쿠와타의 월경지를 통과한다.[5]
이용객이 적어 히가시나리타선의 영업 계수는 500을 넘는다.[6] 가산 운임이 설정되어 있지만, 1991년 나리타 공항 고속철도 개통으로 여객 이동 경로가 바뀌면서 2022년까지 회수율은 9.1%에 불과하다.[7] 게이세이 본선도 게이세이 나리타역 - 나리타 공항역 구간에 가산 운임이 설정되어 있지만, 같은 기간 78.5%를 회수하여 히가시나리타선보다 높은 회수율을 보이고 있다.[7]
참조
[1]
서적
Neko Publishing
2013-01-19
[2]
웹사이트
京成3500形によるワンマン化に向けた試運転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10-17
[3]
간행물
都心と空港の旅客輸送 京成電鉄
日本鉄道運転協会
1978-08
[4]
서적
改訂新版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ネコ・パブリッシング
[5]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006
[6]
뉴스
大手私鉄で「最も儲かっていない」路線は?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6-07-07
[7]
웹사이트
加算運賃の現状について
https://www.keisei.c[...]
京成電鉄
2024-06-19
[8]
보도자료
2022年11月26日(土)京成線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keisei.c[...]
京成電鉄株式会社
2022-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